맨위로가기

송가이 제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가이 제국은 15세기부터 16세기 말까지 서아프리카에 존재했던 제국으로, 니제르 강 유역을 중심으로 번성했다. 10세기경 가오를 중심으로 소왕국으로 시작하여, 말리 제국의 지배를 받다가 14세기 말 독립했다. 손니 알리 황제 시기 영토를 확장하고 팀북투를 점령하며 전성기를 맞이했으나, 아스키아 왕조의 내분과 모로코의 침략으로 쇠퇴하여 1591년 멸망했다. 송가이 제국은 상업, 특히 금과 소금 무역으로 번영했으며, 이슬람 문화를 수용하고 학문과 예술을 발전시켰다. 멸망 이후에는 덴디 왕국으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제르의 역사 - 카넴-보르누 제국
    카넴-보르누 제국은 7세기경 차드호 주변에 건국되어 1900년대 초까지 존속한 서아프리카의 제국으로, 투부족과 사오 문명의 통합으로 형성된 카넴 제국이 무슬림 카누리족의 지배 아래 사하라 횡단 무역으로 번성했으나, 내분과 외부 침략으로 쇠퇴하여 식민 지배를 받았다.
  • 말리의 역사 - 말리 연방
    말리 연방은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의 프랑스 수단과 세네갈이 결합하여 1959년에 형성되었으나, 정치적, 경제적 불균형과 이념적 차이로 인해 1960년에 해체되어 말리 공화국과 세네갈 공화국으로 분리된 단명한 연방 국가였다.
  • 말리의 역사 - 말리 전쟁
    2012년부터 말리에서 투아레그족 반군,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 말리 정부군, 국제 군대의 개입으로 복잡하게 진행 중인 말리 전쟁은 투아레그족 독립 요구에서 시작되었으나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의 개입, 국제 사회의 군사 개입, 그리고 현재는 말리 정부군의 반격 강화로 정치적 불안정, 경제적 어려움, 심각한 인권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송가이 제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송가이 제국의 영토
기본 정보
공식 명칭자그하이 (송가이) 제국
일반 명칭자그하이
지위제국
시대초기 근대
존속 기간1430년대~1591년경
건국 이전 사건송가이 국가가 가오에서 출현
건국 이전 사건 시기7세기경
건국 사건말리 제국으로부터 독립
시작 사건 1손니 왕조 시작
시작 사건 1 시기1468년
시작 사건 2아스키아 왕조 시작
시작 사건 2 시기1493년
멸망 사건사디 왕조의 송가이 제국 침공
멸망 사건 시기1599년
멸망 이후 사건귀족들이 현재의 니제르 남쪽으로 이동하여 다양한 작은 왕국 형성
멸망 이후 사건 시기1901년 프랑스가 덴디의 마지막 아스키아를 폐위시킴
이전 국가 1말리 제국
이전 국가 2가오 제국
후계 국가 1사디 왕조
후계 국가 2팀북투 파샬리크
후계 국가 3덴디 왕국
수도가오
사용 언어송가이어
투아레그어
아랍어
만데어
풀라어
하우사어
모시어
종교수니파 이슬람교
전통 아프리카 종교
통화조개 화폐
금화
주민아이네하
정치
통치자 칭호황제
통치자 1손니 알리
통치자 1 재임 기간1464년~1492년
통치자 2손니 바루
통치자 2 재임 기간1492년~1493년
통치자 3아스키아 무함마드 1세
통치자 3 재임 기간1493년~1528년
통치자 4아스키아 무사
통치자 4 재임 기간1529년~1531년
통치자 5아스키아 무함마드 벤칸
통치자 5 재임 기간1531년~1537년
통치자 6아스키아 이스마일
통치자 6 재임 기간1537년~1539년
통치자 7아스키아 이샤크 1세
통치자 7 재임 기간1539년~1549년
통치자 8아스키아 다우드
통치자 8 재임 기간1549년~1582년
통치자 9아스키아 이샤크 2세
통치자 9 재임 기간1588년~1592년
면적
1550년800,000 km²
1500년1,400,000 km²

2. 역사

송가이인들은 니제르 강 중류 북쪽 기슭의 Kukiya|쿠키야영어(쿠가)를 중심으로 소왕국을 건설했다. 12세기에 약간 북쪽 상류의 가오에 새로운 수도를 건설했는데, 수도의 이름을 따서 '''가오 제국'''이라고도 불렸다. 가오는 소금 중계 무역로와 구리 광산이 있는 다케다를 경유하여 이집트나 이프리키야에서 의류나 등 각종 상품, 마그레브 서부 등에서 오는 대상 무역로의 거대한 국제 시장이었다.

10세기까지 송하이 추장들은 무역로를 따라 사는 사람들을 지배하며 가오를 작은 왕국으로 세웠다. 1300년경, 가오는 말리 제국의 관심을 끌 만큼 번영하게 되었다. 만딩고족의 말리 제국은 1285년에서 1300년경까지 가오 왕국을 지배하였으며, 가오는 말리 제국의 중요한 상업 중심지 중 하나였다. 말리는 가오를 정복하고, 가오의 무역으로 이익을 얻었으며, 약 1430년까지 왕들에게 세금을 징수했다. 그러나 말리 본국의 분쟁으로 인해 가오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하기 어려워졌다.[3] 이븐 바투타는 1353년 가오가 여전히 말리 제국의 일부였을 때 가오를 방문했다.

1360년 만사 술레이만 사망 이후, 그의 계승 문제를 둘러싼 분쟁으로 말리 제국은 약화되었다. 1380년대와 90년대의 또 다른 왕조 불안은 소니 무하마드 다오 휘하에서 송하이가 독립을 공식화할 수 있게 하였다.[6]

14세기, 알리 쿨룬(Ali Kulun영어)이라는 인물이 가오에 손니 왕조를 세웠는데, 이것이 송가이를 대제국으로 성장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손니 알리(1464년~1492년)는 술레이만 다마 사후 왕위를 계승하여, 1460년대 후반 몰락한 말리 제국 잔존 지역을 포함한 송하이 제국의 여러 이웃 국가들을 정복했다. 손니 알리는 송가이 제국을 세운 황제로서 무슬림이었고, 인접국을 정복하여 제국을 확장시켰다.[30] 그는 송가이 제국에 부를 가져왔으며, 팀북투에는 8만여 명이 살고 200여 개의 학교가 존재했다.[30]

수학과 천문학에 관한 아랍어 글이 쓰인 팀북투 사본(Timbuktu Manuscripts)


1464년, 손니 알리 대왕(손니 알리 베르, 재위 1464년–93년)이 계승했다. 손니 알리 대왕 치하에는 아버지 손니 마다우 시대부터 이어받은 유능한 지휘관들이 이끄는 정예군이 있었다. 손니 알리 대왕은 이 정예군을 통해 니제르 강 유역을 제패하고, 무역 도시 젠네(젠네-젠노)를 빼앗아 풀라니족을 학살하고, 1468년 팀북투를 정복했다. 알리는 확장을 위한 원정 중 여러 지역을 정복하여 남쪽의 모시 왕국(Mossi Kingdoms)의 공격을 격퇴하고 북쪽의 도곤족(Dogon people)을 정복했다. 손니 알리와 그의 군대의 침략은 팀북투에 악영향을 미쳤다.

1493년 4월 2일, 손니 왕조의 마지막 왕 손니 바르가 아스키아 무하마드 1세에게 패배하고, 손니 왕조는 멸망했다. 무함마드 투레는 아스키아라 불렸으며, 그의 이름으로 왕조의 이름을 선택했다. 손니 알리가 정복을 통해 제국의 기틀을 마련했다면, 무함마드 투레는 정치 개혁과 경제 활성화를 통해 제국을 발전시켰다. 아스키아 대왕은 손니 알리의 뒤를 이어 송가이 제국을 통치하며, 이전 통치자가 정복한 영토를 조직하고 권력을 남쪽과 동쪽으로 확장했다. 아스키아 대왕은 종교 학교를 열고, 모스크를 건설했으며, 그의 궁정을 전 세계 무슬림 학자들과 시인들에게 개방했다.

아스키아 무함마드 1세의 통치 시대에는 이슬람 전통이 우세하였고, 그의 아들들이 차례로 왕위를 계승하였다.

1590년 모로코 군대가 사하라를 넘어 송가이로 쳐들어왔다. 1591년 톤디비 전투에서 아스키아 이샤크 2세가 이끄는 송가이 군대는 주다르 파샤가 이끄는 모로코 군대에 패배했다. 이 전투에서 송가이 군대는 압도적인 병력에도 불구하고, 모로코 군대의 화약 무기로 인해 소떼가 놀라 달아나면서 패배했다.[14] 이어진 전쟁에서 팀북투, 가오 등의 점령과 약탈은 제국의 멸망을 상징했다.

아스키아 다우드 황제가 사망한 후(1583년), 왕위 계승 전쟁으로 송가이 제국은 약화되었고 두 개의 서로 적대하는 세력으로 분열되었다.[13]

주다르는 가오, 팀북투, 제네를 약탈하여 송가이를 지역 강국으로서 파괴했다. 너무 광대한 제국을 통치하는 것은 사아디 왕조에게 너무 큰 일이었다. 그들은 곧 이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포기하고, 수십 개의 작은 왕국으로 분열되도록 내버려 두었다.[15]

제국이 패배한 후, 귀족들은 오늘날 송하이로 알려진 현재 니제르 지역으로 남쪽으로 이동했는데, 그곳에는 이미 소니 왕조가 정착해 있었다.

2. 1. 초기 정착민과 가오 왕국

송가이인의 국가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니제르 강 중류 북쪽 기슭의 Kukiya|쿠키야영어(쿠가라고도 함)를 중심으로 소왕국을 건설했다. 아랍인 저술가 알-이드리시는 “인구가 많고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고 기록했다.

12세기에 약간 북쪽 상류의 가오에 새로운 수도를 건설했다. 수도의 이름을 따서 '''가오 제국'''이라고도 불린다. 아랍인 저술가 아부 바크르에 따르면 당시에는 「카오카오」라고 불렸으며, 쿠키야로부터는 20일 여정이었다. 가오는 소금 중계 무역로, 구리 광산이 있는 다케다를 경유하여 이집트나 이프리키야에서 의류나 등 각종 상품, 마그레브 서부의 투아르트나 더 멀리서 오는 대상에 의해 거대한 국제 시장의 모습을 보였다.

가오 제국은 베르베르인과의 혼혈로 디아 또는 자라고 불리는 소수 민족이 지배하고 있었다. 그들의 조상은 예멘 출신이라고도 하고, 모로코에 있던 기독교도 베르베르인의 후손이라고도 하지만, 12세기 초에 해당하는 이슬람력의 연호가 새겨진 묘비의 출토가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비이슬람교도였던 것만은 확실하다.

2. 2. 말리 제국의 지배와 독립

만딩고족의 말리 제국은 1285년에서 1300년경까지 가오 왕국을 지배하였다. 가오는 말리 제국의 중요한 상업 중심지 중 하나로 번영하였다.

10세기까지 송하이 추장들은 무역로를 따라 사는 사람들을 지배하며 가오를 작은 왕국으로 세웠다. 1300년경, 가오는 말리 제국의 관심을 끌 만큼 번영하게 되었다. 말리는 가오를 정복하고, 가오의 무역으로 이익을 얻었으며, 약 1430년까지 왕들에게 세금을 징수했다. 그러나 말리 본국의 분쟁으로 인해 가오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하기 어려워졌다.[3] 이븐 바투타는 1353년 가오가 여전히 말리 제국의 일부였을 때 가오를 방문했다. 그는 제국의 수도 방문 후 돌아오는 여정에서 팀북투에서 배를 타고 도착하여 다음과 같이 적었다.

>그 후 나는 카우카우(Kawkaw)라는 도시로 여행했습니다. 이 도시는 니일(니제르 강)에 있는 큰 도시이며, 수단에서 가장 훌륭하고 크고 비옥한 도시 중 하나입니다. 거기에는 많은 쌀, 우유, 닭고기, 생선, 그리고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오이가 있습니다. 그곳 사람들은 말리 사람들처럼 조개껍데기로 사고팔기를 합니다.

1360년 만사 술레이만 사망 이후, 그의 계승 문제를 둘러싼 분쟁으로 말리 제국은 약화되었다. 마리 디아타 2세의 통치는 제국을 빈곤한 재정 상태로 남겨두었지만, 왕국 자체는 무사 2세에게 온전하게 이어졌다. 무사의 ''kankoro-sigui''였던 마리 디아타는 타케다에서 투아레그 반란을 진압하고 가오에서의 송하이 반란을 진압하려 했으나, 타케다는 성공했지만 가오는 재정복하지 못했다.[5] 1380년대와 90년대의 또 다른 왕조 불안은 소니 무하마드 다오 휘하에서 송하이가 독립을 공식화할 수 있게 하였다.[6]

2. 3. 손니 왕조와 제국의 확장

손니 알리는 송가이 제국을 세운 황제로서 무슬림이었고, 인접국을 정복하여 제국을 확장시켰다.[30] 그는 송가이 제국에 부를 가져왔으며, 팀북투에는 8만여 명이 살고 200여 개의 학교가 존재했다.[30] 투아레그족과 모시족을 추방하고 니제르강 상류 ~ 중류 지역에 제국을 구축했으며, 광대한 통치조직과 과세제도를 정비하여 국가재정을 안정시켰다. 이슬람교를 허용하여 사하라를 통한 교역이 활발해졌고, 젠네, 팀북투, 우알라타 등의 도시는 교역, 종교, 학문의 중심지가 되었다. 16세기 초에는 남쪽의 카치나, 자리아, 카노의 하우사족 등 여러 국가를 정복하여 영토를 대서양 연안까지 넓혔으며, 북쪽으로는 투아레그족의 근거지 에일과 아가데스를 점령했다.

14세기, 알리 쿨룬(Ali Kulun영어)이라는 인물이 가오에 손니 왕조를 세웠는데, 이것이 송가이를 대제국으로 성장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저술가 부부-하마에 따르면, 알리 쿨룬은 쿠키야(Kukiya영어)에서 와서 만딩고인들을 몰아냈다고 한다.

손니 마다우(Sunni Mâdao영어) 시대에는 말리 제국과의 전쟁을 본격적으로 일으켜 말리의 수도 니아니에 대군을 보내 대승을 거두고, 만사가 소유하고 있던 24개의 노예 부족을 빼앗았다.

손니 술레이만 다마(Sunni Souleïmân-Dâma영어)는 말리의 소닌케 지역 중심지 네마를 침략하여 많은 전리품을 획득했다.

1360년 만사 술레이만 사망 이후, 말리 제국은 계승 문제로 약화되었다. 마리 디아타 2세의 통치는 제국을 빈곤한 재정 상태로 남겨두었지만, 왕국 자체는 무사 2세에게 온전하게 이어졌다. 무사의 ''kankoro-sigui''였던 마리 디아타는 타케다에서 투아레그 반란을 진압하고 가오에서의 송하이 반란을 진압하려 했으나, 타케다는 성공했지만 가오는 재정복하지 못했다.[5] 1380년대와 90년대의 또 다른 왕조 불안은 소니 무하마드 다오 휘하에서 송하이가 독립을 공식화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보인다.[6] 1460년대에 소니 술레이만 다마는 팀북투 서쪽에 있는 말리 속주 메마를 공격했다.[3]

손니 알리(1464년~1492년)는 술레이만 다마 사후 왕위를 계승하였다. 이전의 송하이 왕들과 달리, 알리는 어머니인 덴디족(Dendi people)으로부터 배운 전통 종교를 존중하려 했다. 이로 인해 그는 이슬람 학자들로부터 폭군으로 여겨졌다.[7] 1460년대 후반, 그는 몰락한 말리 제국 잔존 지역을 포함한 송하이 제국의 여러 이웃 국가들을 정복했다.

1464년, 손니 알리 대왕(손니 알리 베르, 재위 1464년–93년)이 계승했다. 손니 알리 대왕 치하에는 아버지 손니 마다우 시대부터 이어받은 유능한 지휘관들이 이끄는 정예군이 있었다. 히-코이가 이끄는 니제르 함대, 단련된 보병 군단, 기동력이 풍부한 기병 군단이 있었다. 손니 알리 대왕은 이 정예군을 통해 니제르 강 유역을 제패하고, 무역 도시 젠네(젠네-젠노)를 빼앗아 풀라니족을 학살하고, 1468년 팀북투를 정복했다. 또한, 투아레그족을 공격하여 사헬 북부까지 몰아냈다. 모시족의 왕 나세르 1세를 젠네 근처에서 무찌르고, 송가이의 영토는 니제르 강 중류 지역에서 현재 나이지리아 북부부터 세네갈 강 상류 부근까지 뻗어나가는 제국이 되었다. 손니 알리 대왕은 말리 제국의 전례에 따라, 파린 또는 파르마라고 불리는 지배자에게 주를 통치하게 했는데, 코이, 몬조라는 지배자에게 주를 통치하게 했다. 또한, 니제르 강에서 우아라타로 통하는 운하를 건설하려는 계획은 실패했지만, 그 대신 니제르 강 유역의 수로를 정비하여 농업을 발전시켰다.

알리는 확장을 위한 원정 중 여러 지역을 정복하여 남쪽의 모시 왕국(Mossi Kingdoms)의 공격을 격퇴하고 북쪽의 도곤족(Dogon people)을 정복했다. 그는 말리의 쇠퇴 이후 투아레그족이 점령한 팀북투를 1468년에 함락시켰는데, 이는 도시 지도자들이 투아레그족을 타도하는 데 도움을 요청했기 때문이다.[8] 그가 무역 도시 젠네를 정복하려 하자, 시민들은 저항했다. 7년간의 포위 공격 끝에 그는 시민들을 기아로 항복시켜 1473년에 도시를 제국에 편입시켰다.

손니 알리와 그의 군대의 침략은 팀북투에 악영향을 미쳤다. 마흐무드 카티가 쓴 타리크 알-파타쉬(Tarikh al-fattash)를 포함한 많은 이슬람 기록들은 그를 폭군으로 묘사했다. ''아프리카 케임브리지 역사(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에 따르면, 이슬람 역사가 알-사디(Al-Sa'di)는 팀북투 침공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손니 알리는 특히 투아레그족과 관련된 산코레 지역의 학자들을 대상으로 정책을 만들었다. 팀북투와 같은 중요한 무역로와 도시들을 장악함으로써, 손니 알리는 송하이 제국의 부를 증가시켰고, 그것은 전성기에는 말리의 부를 능가하게 되었다.[10]

1493년 4월 2일, 손니 왕조의 마지막 왕 손니 바르가 아스키아 무하마드 1세에게 패배하고, 손니 왕조는 멸망했다.

2. 4. 아스키아 왕조와 전성기

무함마드 투레는 아스키아라 불렸으며, 그의 이름으로 왕조의 이름을 선택했다. 손니 알리가 정복을 통해 제국의 기틀을 마련했다면, 무함마드 투레는 정치 개혁과 경제 활성화를 통해 제국을 발전시켰다. 그는 농업과 군사 등 각 분야를 감독하고 관리하는 관직을 설치했다. 무함마드 투레는 무슬림으로서 만사 무사처럼 메카로 순례를 다녀왔고, 종교 학교와 이슬람교 사원을 건립했다. 그는 손니 알리가 정복한 땅을 행정 구역으로 편입하고 이슬람교를 널리 전파했으며, 여러 차례 전쟁을 벌이기도 했다. 무함마드 투레의 통치 아래 송가이 제국은 전성기를 맞이했다.

아스키아 대왕은 손니 알리의 뒤를 이어 송가이 제국을 통치하며, 이전 통치자가 정복한 영토를 조직하고 권력을 남쪽과 동쪽으로 확장했다. 그의 통치 아래, 송가이 군대는 상비군을 보유하게 되었다. 알-사디(Al-Sa'di)는 ''타리크 알-수단''(Tarikh al-Sudan)에서 아스키아가 모든 사람이 군인이었던 손니 알리 시대와 달리 민간인과 군대를 구분했다고 기록했다.[11]

아스키아 대왕은 종교 학교를 열고, 모스크를 건설했으며, 그의 궁정을 전 세계 무슬림 학자들과 시인들에게 개방했다. 그는 이슬람 관습을 시행했지만 백성에게 종교를 강요하지는 않았다. 아스키아는 이슬람의 다섯 기둥 중 하나인 메카 순례(하즈)를 통해 많은 양의 금을 가져와 일부는 자선에 기부하고 나머지는 메카 사람들에게 제국의 부를 과시하기 위한 선물로 사용했다. 카이로의 역사가들은 그의 순례에 "500명의 기병과 1000명의 보병의 호위를 받았고, 그와 함께 30만 개의 금화를 가지고 있었다"고 기록했다.[25]

이슬람은 그에게 매우 중요했기 때문에, 귀환 후 그는 제국 전역에 더 많은 학습 센터를 설립하고 이집트와 모로코에서 무슬림 학자들을 모집하여 팀북투의 상코레 모스크에서 가르치게 했다. 그는 천문학에 관심이 많았고, 그로 인해 수도에는 천문학자와 천문대가 증가했다.[12]

아스키아는 이웃 모시족에 대한 지하드를 선포하는 등 여러 군사 원정을 시작했지만, 정복 후에도 이슬람으로 개종하도록 강요하지 않았다. 그의 군대는 전투용 카누, 기병, 방호구, 철촉 무기, 그리고 조직적인 민병대로 구성되었다.

그는 제국의 행정을 중앙 집권화하고 세금 징수와 사법 행정을 담당하는 관료제를 설립했다. 그는 농업을 증진하기 위해 운하 건설을 요구했고, 결국 무역을 증가시켰다. 그는 도량형 시스템을 도입하고 송가이의 주요 무역 센터마다 감찰관을 임명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이슬람은 더욱 확고해졌고, 사하라 사막 횡단 무역이 번성했으며, 타가자의 소금 광산이 제국 영토 내에 포함되었다.

아스키아 무함마드 1세의 통치 시대에는 이슬람 전통이 우세하였고, 그의 아들들이 차례로 왕위를 계승하였다.

2. 5. 쇠퇴와 멸망

1590년 모로코 군대가 사하라를 넘어 송가이로 쳐들어왔다. 송가이는 수적으로 우세했지만, 화약병기를 가진 모로코에 무너지게 되었다. 1591년 톤디비 전투에서 아스키아 이샤크 2세가 이끄는 송가이 군대는 주다르 파샤가 이끄는 모로코 군대에 패배했다. 이 전투에서 송가이 군대는 압도적인 병력에도 불구하고, 모로코 군대의 화약 무기로 인해 소떼가 놀라 달아나면서 패배했다.[14] 이어진 전쟁에서 팀북투, 가오 등의 점령과 약탈은 제국의 멸망을 상징했다.

아스키아 다우드 황제가 사망한 후(1583년), 왕위 계승 전쟁으로 송가이 제국은 약화되었고 두 개의 서로 적대하는 세력으로 분열되었다.[13] 1586년에 무함마드 4세가 즉위하면서 왕위 계승 분쟁이 일어났고, 최종적으로 이스하크 2세가 승리하여 즉위했지만, 내란으로 송가이 국내는 쑥대밭이 되었다.

모로코의 송가이 침략은 주로 발전하는 설탕 산업을 위해 사하라 사막을 횡단하는 소금, 금, 노예 무역을 장악하고 부흥시키기 위한 것이었다.[15] 모로코 군대는 알카세르키비르 전투에서 포르투갈의 침략을 격파했지만, 포위 공격을 막기 위해 사용된 방어 비용을 지불해야 했기에 경제적 고갈과 파산 직전에 놓여있었다. 1591년 사아디 왕조의 술탄 아흐마드 1세 알 만수르는 환관 주다르 파샤의 지휘 아래 남쪽으로 침략군을 파병했다.[14]

주다르는 가오, 팀북투, 제네를 약탈하여 송가이를 지역 강국으로서 파괴했다. 너무 광대한 제국을 통치하는 것은 사아디 왕조에게 너무 큰 일이었다. 그들은 곧 이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포기하고, 수십 개의 작은 왕국으로 분열되도록 내버려 두었다.[15] 제국의 멸망 뒤 주둔하던 모로코군은 점령한 영토에서 원주민 게릴라군과 유목민과의 끝없는 전투에 시달려야했고, 1603년 모로코 내부가 혼란해지자 세력이 규합하여 제국이 생기는 일이 없도록 수많은 소국으로 쪼개어버리고는 철수하면서 서아프리카의 제국은 이로써 완전히 소멸한다.

제국이 패배한 후, 귀족들은 오늘날 송하이로 알려진 현재 니제르 지역으로 남쪽으로 이동했는데, 그곳에는 이미 소니 왕조가 정착해 있었다. 그들은 완자르베, 아예루, 고세, 다르골, 테라, 시키에, 코코루, 고루올, 카르마, 나마로와 같은 더 남쪽의 덴디와 같은 더 작은 왕국들을 형성했는데, 덴디 왕국은 얼마 후 두각을 나타냈다.

3. 정치와 행정

송가이 제국은 원래 팀북투 지역에서 가오 동쪽 지역까지를 포함했다. 소니 알리와 아스키야 시대에 군사적으로 영토를 확장하면서 주(州)들이 만들어졌고, 이 영토는 세 개의 군사 지역으로 나뉘었다.[16]

전성기 송가이 제국은 현재의 말리, 니제르, 나이지리아, 모리타니, 세네갈, 기니 해안 대부분의 국가, 그리고 알제리 영토에 걸쳐 있었다. 그 영향력은 카메룬까지 미쳤으며, 만데족(Mandé peoples), 구르어족(Gur languages), 도곤족, 베르베르인, 아랍인(Arab people), 풀라니족(Fulani people), 워로프족(Wolof people), 하우사족(Hausa people), 소닌케족(Soninke people), 아칸족(Akan people), 요루바족(Yoruba people) 등 다양한 민족, 언어, 문화, 정치적 공간에 걸쳐 있었다.

송가이를 이끈 것은 정예 기병대였다. 이들은 동아프리카(East Africa) 출신의 신석기 시대(Neolithic) 유목(nomadic) 닐로사하라어족(Nilo-Saharan) 기수, 소르코(Sorko) 어민, 니제르 강(Niger River)의 니제르-콩고어족(Niger-Congo languages) 농부들이 섞여 형성되었다.[16]

3. 1. 중앙 정부와 관료 제도

상류층은 이슬람으로 개종했지만, 하류층은 종종 전통 종교를 계속 따랐다. 설교는 왕에 대한 복종을 강조했다. 팀북투는 교육의 중심지였다. 손니 알리(Sonni Ali)는 왕궁 아래 정부 체제를 수립했고, 이후 아스키아 무하마드(Askia Muhammad)에 의해 확장되어 니제르 강 유역 주변의 지역 조공 국가를 다스리는 주지사와 시장을 임명했다. 이들 지역 수장들은 송하이 정책을 훼손하지 않는 한 각자의 영토에 대한 권한을 여전히 부여받았다.[24]

중앙 정부에는 부서 직책이 존재했다. '히 코이(hi koy)'는 함대 사령관으로, 내무장관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했다. '파리 몬조(Fari Mondzo)'는 농업부 장관으로, 국가의 농업 영지를 관리했다. 키-제르보(Ki-Zerbo) 등 역사가들은 '칼리사 농장(Kalisa farm)'을 재무 장관으로 묘사하여 제국의 국고를 감독했다고 한다. '코레이 파르마(Korey Farma)'는 또한 "백인 외국인 담당 장관"이었다.[24]

세금은 송하이의 지배를 확보하기 위해 주변의 족장령과 지방에 부과되었으며, 그 대가로 이들 지방은 거의 완전한 자치권을 부여받았다. 송하이 통치자들은 상황이 흔히 고립된 사건으로 격렬해질 때만 이웃 국가의 문제에 개입했다. 각 도시는 정부 관리들이 대표했으며, 오늘날 중앙 관료들과 유사한 직책과 책임을 맡았다.

아스키아 무하마드 치하에서 제국은 중앙 집권화가 강화되었다. 그는 교수들에게 더 많은 연금을 지급하여 팀북투의 학문을 장려했다. 그는 또한 서열과 의례를 확립했으며 가난한 사람들에게 관대하게 베푸는 귀족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정책 하에 무하마드는 송하이에 많은 안정을 가져왔고, 이러한 조직화의 증거는 마그레브의 작가 레오 아프리카누스(Leo Africanus) 등의 작품에 남아 있다.

3. 2. 지방 행정

송가이 제국은 손니 알리 시대에 수립되어 아스키아 무하마드 시대에 확장된 왕궁 아래 정부 체제를 갖추고 있었다. 니제르 강 유역 주변의 조공 국가를 다스리는 주지사와 시장이 임명되었는데, 이들은 송가이의 정책을 훼손하지 않는 한 각자의 영토에 대한 권한을 유지했다.[24] 중앙 정부에는 여러 부서가 존재했다. '히 코이(hi koy)'는 함대 사령관으로, 내무장관과 유사한 역할을 했다. '파리 몬조(Fari Mondzo)'는 농업부 장관으로 국가 농업 영지를 관리했다. '칼리사 농장(Kalisa farm)'은 재무 장관으로 묘사되어 제국의 국고를 감독했다고 한다. '코레이 파르마(Korey Farma)'는 "백인 외국인 담당 장관"이었다.[24]

주변 족장령과 지방에는 세금이 부과되어 송가이의 지배를 확보했으며, 그 대가로 이들 지방은 거의 완전한 자치권을 부여받았다. 송가이 통치자들은 상황이 격렬해질 때만 이웃 국가 문제에 개입했다. 각 도시는 오늘날 중앙 관료들과 유사한 직책과 책임을 맡은 정부 관리들이 대표했다.

아스키아 무하마드 치하에서 제국은 중앙 집권화가 강화되었다. 그는 교수들에게 더 많은 연금을 지급하여 팀북투의 학문을 장려했다. 또한 서열과 의례를 확립했으며 가난한 사람들에게 관대하게 베푸는 귀족으로 알려졌다. 그의 정책으로 무하마드는 송가이에 많은 안정을 가져왔으며, 이러한 조직화의 증거는 마그레브의 작가 레오 아프리카누스(Leo Africanus) 등의 작품에 남아 있다.

3. 3. 군사 조직

송가이 제국의 군대는 크게 세 지역으로 나뉘어 운영되었다. 각 지역에는 주둔군이 배치되어 해당 지역의 방어를 책임졌다.

  • 쿠르마(Kurma): 서부 지역을 담당했으며, 제국의 국방장관이자 군 총사령관인 발라마(Balama)가 주둔했다. 발라마는 서부 주둔군을 지휘하고, 카바라 항구에 해군 함대의 일부를 배치했다. 팀북투에는 쿠르마 파리(Kurma Fari)가 주지사로 있었다.

  • 가오(Gao): 제국의 수도로, 황제가 직접 중앙 주둔군과 함대 일부를 지휘했다. 황제가 이끄는 함대는 히코이(Hikoy), 즉 제국의 제독이 지휘했으며, 전성기에는 1,000척이 넘는 배를 보유했다. 남쪽의 군사 주는 험보리(Hombori) 주지사인 톤디 파르마(Tondi farma)가, 북쪽의 사하라 주는 타데메카트(Tademekat)의 아메노칼(Amenokal)이자 베르베르인의 수장인 수르구코이(Surgukoy)가 담당했다. 수르구코이는 낙타 기병대를 지휘했다.[16]

  • 덴디파리(Dendifari): 동부 지역을 담당했으며, 주지사는 하우사 왕국을 포함한 동부 주들을 감시하는 주둔군을 배치했다. 함대는 아요루 항구에 주둔했다.


송가이 군대는 히코이(제독)가 이끄는 해군, 기병궁수로 구성된 기병대, 보병, 낙타 기병대로 구성되었다.[16] 황제는 군대의 전략가이자 총사령관이었고, 발라마는 국방장관 겸 육군 사령관 역할을 했다. 기병궁수의 수장은 텅 파르마라 불렸다. 보병은 냐이 허리(전쟁 코끼리)가 이끌었고, 낙타 기병대는 구이라 불리는 기병대장이 이끌었다. 기병대는 주로 북부 지방에서 모집된 베르베르인으로 구성되었다.

포솔름에 따르면, 송가이 군대는 중세 유럽 군대와 유사하게 "사슬 갑옷과 투구를 착용한 기마 기사들"로 구성된 중기병이 지배적이었다.[26] 보병에는 주로 자유민과 포로들로 구성된 부대가 포함되었다. 송가이 보병의 무기는 검, 화살, 구리 또는 가죽 방패였다. 톤디비 전투에서 송가이 군대는 보병 3만 명과 기병 1만 명으로 구성되었다.[27]

4. 경제

송가이 제국의 경제는 봉건 계급 제도에 기반을 두었다. 상위 계급은 사회에서 높은 지위를 가졌으며, 중간 계급은 금속 세공인, 어부, 목수 등으로 구성되었다. 하위 계급은 전쟁 포로나 노예였다. 송가이 경제는 씨족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사람이 속한 씨족이 그 사람의 직업을 결정했다. 제임스 올슨은 송가이 노동 시스템을 다양한 기계공과 장인들로 구성된 직능 조합과 유사하다고 묘사했다.[23]

4. 1. 농업과 관개 시설

소니 알리 통치 기간 동안 여러 제방이 건설되어 제국의 관개 시설과 농업 생산량이 향상되었다.[18][19]

4. 2. 무역과 상업

송가이 제국은 안정적인 교역을 통해 번영을 누렸다. 특히 생산량이 많아 이를 수출하여 부를 축적했고, 소금은 약 800km 밖에서 가져와야 했기 때문에 매우 귀하게 여겨졌다.[30]

사헬 지역의 육상 무역과 니제르 강을 따라 이루어지는 수상 무역은 송가이 왕국의 부의 주요 원천이었다. 서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이루어지는 무역은 1400년대 후반에야 가능해졌다.[25] 소니 알리 통치 기간 동안에는 여러 제방이 건설되어 제국의 관개 시설과 농업 생산량이 향상되었다.[18][19]

육상 무역은 낙타, 베르베르 부족, 이슬람교, 제국의 구조라는 네 가지 요소의 영향을 받았다. 서아프리카에는 금이 풍부했지만 소금은 부족했기 때문에 금-소금 무역이 사헬 지역 육상 무역로의 중심이었다. 상아, 타조 깃털, 노예는 소금, 말, 낙타, 천, 예술품과 교환되어 북쪽으로 보내졌다. 여러 무역로가 사용되었지만, 송가이 왕국은 페잔을 거쳐 빌마, 아가데스, 가오로 이어지는 길을 주로 이용했다.[25]

니제르 강은 제국의 무역에 필수적이었다.[25] 낙타에서 내린 상품은 팀북투에서 당나귀나 배로 옮겨졌다.[25] 거기서부터 800km 상류의 지엔네 또는 하류의 가오로 이동되었다.[25]

상인(Julla)들은 동업 관계를 맺었고, 국가는 니제르 강변의 상인과 항구 도시를 보호했다. 아스키아 무하마드 1세는 제국 전역에 걸쳐 통일된 무게와 측정 시스템을 도입했다.[20][21][22]

서기 1000년~1500년경 서사하라 무역로. 금광은 연한 갈색 음영으로 표시됨: 밤부크, 부레, 로비, 아칸 금광.

4. 3. 수공업과 광업

송가이 제국에서는 금속 세공, 어업, 목공업이 발달했다. 하위 카스트는 주로 이민자들로 구성되었는데, 때로는 특별한 특권을 받고 높은 지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최상위 계층은 귀족과 송가이족 후손, 자유민과 상인이었고, 최하위 계층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는 포로와 노예들이었다.[23] 송가이 제국은 이전의 가나, 말리 제국보다 노예를 더 일관되게 사용했다.[23] 제임스 올슨은 송가이 노동 시스템을 다양한 기계공과 장인들로 구성된 직능 조합과 유사하다고 묘사했다.[23]

송가이 제국은 을 대량으로 채굴하여 수출해 부유했으며, 소금은 약 800km 밖에서 가져와야 했기 때문에 매우 귀했다.[30]

5. 사회와 문화

팀북투는 송가이 제국의 전성기에 번영하는 문화 및 상업 중심지였다. 아랍, 이탈리아, 유대인 상인들이 모두 이곳에서 무역을 하였다.[17]

5. 1. 종교

손니 왕조는 후계 왕조인 아스키아 왕조와는 달리 이슬람을 실천하면서도 초기 송가이 전통의 많은 측면을 유지했다.[25] 아스키아 모하메드 1세는 이슬람의 완전한 부흥을 감독하고 메카 순례를 떠났다.[25]

5. 2. 교육과 학문

전성기에 팀북투는 문화 및 상업 중심지로 번영하였다. 아랍, 이탈리아, 유대인 상인들이 모두 무역을 위해 이곳으로 모여들었다. 팀북투 대학교에서는 이슬람 학문이 부흥하였다.[17]

5. 3. 법과 사법 제도

송가이 제국의 형사 사법 제도는 아스키아 무하마드 통치 시기에 특히 이슬람 원칙에 기반을 두었다. 쿠란에 따라 샤리아 법을 준수하여 질서를 유지하는 책임은 현지 카디(qadi)에게 있었다. 이주 상인들 사이의 사소한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카디가 필요했다. 왕은 일반적으로 피고를 심판하지 않았지만, 반역죄와 같은 예외적인 상황에서는 권위를 행사했다. 재판 결과는 "읍내 고시원"에 의해 발표되었고, 대부분의 사소한 범죄에 대한 처벌은 상품 몰수 또는 투옥이었다. 제국 내에는 여러 감옥이 존재했다.

카디들은 팀북투젠네와 같은 중요한 무역 도시에서 지역적으로 활동했다.[1] 왕은 카디를 임명하고 샤리아 법에 따라 일반법 위반 사건을 처리했다. 카디는 사면권이나 망명권을 부여할 수 있는 권한도 가지고 있었다.[1] 판결 집행은 "아사라-무니션즈" 또는 "집행자"라고 불리는 경찰서장이 담당했다.[1] 법률가들은 주로 학계 대표들로 구성되었으며, 교수들은 제국 내에서 행정직을 맡는 경우가 많았고, 많은 이들이 카디가 되기를 열망했다.[1]

6. 멸망 이후

초대 황제 손니 알리 이후 계속된 계승자 싸움으로 약해진 송가이 제국은 모로코의 제안을 받아들이는 등 힘없는 모습을 보였다. 1590년 모로코 군대가 사하라를 넘어 송가이를 침공했다. 송가이는 수적으로 우세했지만, 화약 병기를 가진 모로코에 무너졌다. 1591년 팀북투, 가오 등의 점령과 약탈은 제국의 멸망을 상징했다.

이후 주둔하던 모로코군은 점령지에서 원주민 게릴라군과 유목민과의 끊임없는 전투에 시달려야 했다. 1603년 모로코 내부가 혼란해지자 세력이 규합하여 제국이 생기는 일이 없도록 수많은 소국으로 쪼개버리고는 철수하면서 서아프리카의 제국은 이로써 완전히 소멸한다.

6. 1. 덴디 왕국

이름통치 시작통치 종료
무하마드 가오1591년 4월 14일1591년
누(Nuh)1591년1599년
하룬(Harun)1599년1612년
알-아민(Al-Amin)1612년1618년
다우드 2세(Dawud II)1618년1635년
이스마일(Ismail)1635년1640년
삼수-베리(Samsou-Béri)1761년1779년
하르가니(Hargani)1779년1793년
삼수 케이나(Samsou Keïna)1793년1798년
포디 마이룸파(Fodi Maÿroumfa)1798년1805년
토모(Tomo)1805년1823년
바사루 미시 이제(Bassarou Missi Izé)1823년1842년
부미(아스키아 코다마 코미)(Boumi (Askia Kodama Komi))1842년1845년


6. 2. 송가이 제2 제국

덴디 왕국 이후, 송가이 제2 제국은 여러 명의 통치자 아래 명맥을 이어갔다. 다음은 덴디 왕국 시기 송가이 통치자 목록이다.

이름통치 시작통치 종료
무하마드 가오1591년 4월 14일1591년
누(Nuh)1591년1599년
하룬(Harun)1599년1612년
알-아민(Al-Amin)1612년1618년
다우드 2세(Dawud II)1618년1635년
이스마일(Ismail)1635년1640년
삼수-베리(Samsou-Béri)1761년1779년
하르가니(Hargani)1779년1793년
삼수 케이나(Samsou Keïna)1793년1798년
포디 마이룸파(Fodi Maÿroumfa)1798년1805년
토모(Tomo)1805년1823년
바사루 미시 이제(Bassarou Missi Izé)1823년1842년
부미(아스키아 코다마 코미)(Boumi (Askia Kodama Komi))1842년1845년


참조

[1] 서적 Africa from the Sixteenth to the Eighteenth Century UNESCO Publishing 2000
[2] 논문 The Origins of the "Sudanic" Civilization https://www.jstor.or[...] 1972
[3] 서적 Empires of Medieval West Africa https://archive.org/[...] Chelsea House Pub 2009-11-01
[4] 서적 Timbuktu and the Songhay Empire: Al-Sadi's Tarikh al-Sudan down to 1613 and other contemporary documents Brill Academic Pub 2003-03-25
[5] 서적 Peoples and Empires of West Africa; West Africa in History, 1000–1800 Holmes & Meier Pub 1971-01-01
[6] 논문 Nyaani Mansa Mamudu et la fin de l ’empire du Mali https://www.persee.f[...] Société française d'histoire d'outre-mer 2024-11-13
[7] 웹사이트 Sonni Ali https://www.britanni[...]
[8] 백과사전 Sonni ʿAlī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
[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Vol 5 University Press 1977
[10] 서적 Aspects of West African Islam https://open.bu.edu/[...] Boston University, African Studies Center 1971
[11] 서적 Warfare in Atlantic Africa, 1500-1800 Taylor and Francis
[12] 서적 Medieval Islamic Civilization: L-Z, index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6
[13] 서적 Muslim Societies in Africa: A Historical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22-04-07
[14] 웹사이트 Kingdoms of Africa - Niger https://www.historyf[...] 2020-01-23
[15] 논문 The end of the Songhay empire https://archive.org/[...] UNESCO 2023-09-16
[16] 서적 The Cinematic Griot: The Ethnography of Jean Rouch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1-06-03
[17] 웹사이트 Timbuktu: History of Fabled Center of Learning http://www.livescien[...] Live Science 2013-01-21
[18] 웹사이트 Songhai Empire https://www.worldhis[...] 2021-08-15
[19] 서적 1998
[20]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3-Volume Se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21] 논문 Songhay, Borno, and Hausaland in the sixteenth centur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6
[22] 서적 Towards an Understanding of the African Experience from Historical and Contemporary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90
[23] 서적 The Ethnic Dimension in American History St. Martin's Press, Inc. 1979
[24] 서적 1998
[25] 논문 Gold, Islam and Camels: The Transformative Effects of Trade and Ideology https://scholarsarch[...] 1993-04-01
[26] 서적 Winning at War: Seven Keys to Military Victory Throughout Histor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0
[27] 서적 1998
[28] 서적 African States and Rulers McFarland 2005
[29] 서적 야만과 문명 누가 살아남을 것인가? 이론과 실천 2005-05-20
[30] 서적 교양있는 어린이를 위한 세계 역사 이야기 2 중세편 꼬마이실 2004-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